東洋 古典 한마디 38. 德不孤 必有隣이니라
子曰 덕불고(德不孤) 필유린(必有隣)이니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덕은 외옵지 않아 반드시 이웃이 있는 것이다”
隣은 猶親也 隣은 친과 같다( 隣=親). 덕불고립(德不孤立)하여 필이유린(必以類隣)이라 故로 유덕자(有德者)는 필유기류종지(必有其類從之)니 여거지유린야(如居之有隣也)
: 덕은 고립되지 않아 같은 류끼리 응한다. 그러므로 덕이 있는 자는 반드시 동류(同類)가 따름이 있는 것이니, 거주하는 곳에 이웃이 있는 것과 같은 것이다.
①德이란 고매하고 너그러운 도덕적 품성- 德이 높은 분 ②德이란 윤리적 의지대로 행동할 수 있는 인격적 능력, 덕을 닦는다. ③은혜나 덕택-염려해 주신 덕택으로 잘 지내고 있습니다. ④ 공덕의 준말-덕을 쌓는다. 덕이란 말을 위와 같이 우리말 사전에 잘 정리해 두었다. 생활 속에서 덕이라는 말을 자주 써왔지만 네 가지로 구분해 놓은 것이 보니 정의를 잘 알게 해준다. 德不孤 必有隣이란 말은 줄여서 ‘德必有隣’이란 사자성어로도 잘 쓰이는 말이다. 아파트 생활에서 층간 소음으로 다투는 경우를 잘 보는데 서로 이해하고 잘못이 생겼을 때 죄송했다는 찾아가 양해를 구하고 이웃을 배려하는 마음으로 생활하면 더욱 좋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論語 里仁章에서 (전통문화연구회)
子曰 덕불고(德不孤) 필유린(必有隣)이니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덕은 외옵지 않아 반드시 이웃이 있는 것이다”
隣은 猶親也 隣은 친과 같다( 隣=親). 덕불고립(德不孤立)하여 필이유린(必以類隣)이라 故로 유덕자(有德者)는 필유기류종지(必有其類從之)니 여거지유린야(如居之有隣也)
: 덕은 고립되지 않아 같은 류끼리 응한다. 그러므로 덕이 있는 자는 반드시 동류(同類)가 따름이 있는 것이니, 거주하는 곳에 이웃이 있는 것과 같은 것이다.
①德이란 고매하고 너그러운 도덕적 품성- 德이 높은 분 ②德이란 윤리적 의지대로 행동할 수 있는 인격적 능력, 덕을 닦는다. ③은혜나 덕택-염려해 주신 덕택으로 잘 지내고 있습니다. ④ 공덕의 준말-덕을 쌓는다. 덕이란 말을 위와 같이 우리말 사전에 잘 정리해 두었다. 생활 속에서 덕이라는 말을 자주 써왔지만 네 가지로 구분해 놓은 것이 보니 정의를 잘 알게 해준다. 德不孤 必有隣이란 말은 줄여서 ‘德必有隣’이란 사자성어로도 잘 쓰이는 말이다. 아파트 생활에서 층간 소음으로 다투는 경우를 잘 보는데 서로 이해하고 잘못이 생겼을 때 죄송했다는 찾아가 양해를 구하고 이웃을 배려하는 마음으로 생활하면 더욱 좋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論語 里仁章에서 (전통문화연구회)